손정기 Son Jung Kee
본문
작가는 이 자발적 고독의 시간이 결코 고립이 아닌, 자신과 삶에 대한 사유의 시간이라고 말한다. 바람조차 잠든 인적 드문 호숫가에서, 물에 비친 낯선 얼굴을 마주하고, 하늘이 발밑에 위치한 풍경 앞에 설 때, 우리는 기존의 시선으로는 보지 못했던 세계와 나를 발견하게 된다. 목적과 효율을 내려놓고 비로소 마주하는 이 낯선 풍경은, 삶의 짐을 내려놓는 첫 번째 장면이 된다.
손정기의 회화는 풍경에 대한 묘사를 넘어, 내면의 심연에 이르는 길을 보여준다. 익숙한 것이 낯설게 다가오고, 원하던 것이 더 이상 나를 만족시키지 않으며, 진정한 나와 되고 싶은 나 사이에서 당황과 실망을 경험하는 감정은, 결국 ‘나’를 알기 위한 통과의례와도 같다. 작가는 이러한 내면의 충돌을 회피하지 않고 응시하며, 고요한 화면 속에 정제된 고독의 정서를 담아낸다.
The artist describes this voluntary solitude not as isolation, but as a time for deep contemplation on the self and on life. Standing by a desolate lake where even the wind has stilled, confronting a reflection that feels unfamiliar, or facing a scene where the sky seems to lie beneath our feet—we encounter a version of the world, and of ourselves, previously unseen. This unfamiliar landscape, experienced only when one surrenders goals and productivity, marks the beginning of laying down life’s burdens.
Jeongki Son’s paintings go beyond depicting landscapes; they trace a path into the depths of the inner self. The familiar becomes strange, what once fulfilled no longer satisfies, and one is caught between who they are and who they long to be—experiencing confusion and disappointment. Yet these emotions become a rite of passage toward true self-understanding. Rather than turn away, the artist gazes directly into this inner conflict, capturing a distilled sense of solitude in his tranquil compositions.
- 이전글홍승태 Hong Seung Tae 24.02.07
- 다음글송유정 Song Yu Jeong 23.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