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순철 Kim Soon Cheol
본문
김순철 작가는 바느질을 통해 작품을 완성한다. 그에게 바느질은 자신과 깊이 소통하는 방식이다. 송곳으로 화면을 뚫고 실이 앞면과 뒷면을 오가는 단순하고 반복적인 행위를 통해, 작가는 되새김질하듯 자신의 무의식과 마주한다. 이 과정을 거치며 겹겹이 쌓인 미세한 감정에 직면하고, 서서히 그 마음을 비워내어 평온에 이른다.
오랜 시간과 노동이 축적된 바느질의 흔적은 고민을 덜어내고, 그 자리에 고요한 평화를 담아낸다. 따라서 그의 작품에 드러나는 형상은 단순히 도기나 항아리의 외형이 아니라, 작가 마음의 바람과 기억을 상징하는 기호이다. 두껍게 중첩된 실이 만들어낸 부조 같은 화면은 이제 관람자의 염원을 담아낼 새로운 그릇이 된다.
홍익대학교 동양화과를 졸업한 그는 한국화와 현대미술을 조화롭게 접목하며 국제적 화단에서 주목받아 왔다. 그의 작품은 국립현대미술관에 소장되어 현대 한국화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김순철 작가는 한지 위에 한 땀 한 땀 정성스럽게 바느질로 질감을 쌓고, 그 위에 채색을 더하는 독창적인 ‘회수(繪繡)’ 작업을 선보인다. 의자, 달항아리, 꽃 같은 모티브는 상징적 기호가 되어 내면의 이야기를 전한다. 화면을 오가며 왕래하는 실은 자기 자신과의 은밀한 대화이자 반복을 통한 치유의 행위이며, 자정의 의식이다.
돌출된 실로 형성된 그릇과 항아리는 밝고 따뜻한 마음을, 꽃은 피어나려는 염원과 신념을 상징한다. 끊임없이 반복되는 바느질의 축적은 시간의 연속성을 담아내며, 그 과정을 수행자의 기도처럼 응축한다. 작품은 마침내 하나의 화사한 협주곡이 되어, 서로 다른 화음이 어우러지듯 풍부하고 우아한 아우라를 만들어낸다.
Kim Soon Cheol completes his works through the meticulous act of stitching, which for him is an intimate method of self-communion. By piercing the surface with an awl and guiding the thread back and forth between the front and back of the canvas in a simple, repetitive motion, he confronts his own unconscious in a meditative, ruminative process. Through this quiet practice, he faces layers of delicate emotions, gradually empties his mind, and ultimately reaches a state of peace.
The accumulated traces of labor in his stitching relieve long-held burdens, replacing them with a sense of calm. The forms that emerge are not merely representations of jars or vessels but symbolic motifs carrying the artist’s aspirations and memories. The thick, overlapping threads create a relief-like surface that becomes a vessel to hold the viewers’ own wishes and reflections.
A graduate of Hongik University’s Department of Oriental Painting, Kim merges Korean painting techniques with contemporary approaches, earning recognition both in Korea and internationally. His work is housed in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as an example of the evolving face of Korean painting.
Through his unique Hoesu (painting-embroidery) technique, he carefully builds texture on hanji paper stitch by stitch, layering color to complete each piece. Chairs, moon jars, and flowers appear as recurring symbols that express his inner narrative. The thread traveling across the canvas becomes a language of quiet self-dialogue, a repetitive act of healing and purification.
Raised forms of vessels and jars convey a bright, warm spirit, while flowers embody his longing and determination to bloom. The endless repetition of stitching records the continuity of time—yesterday, today, and tomorrow—and crystallizes into a prayer-like devotion. Ultimately, his works unfold like luminous concertos, radiating an elegant aura where many different harmonies converge.
With HEDWIG GALLERY:
「New Antique」
February 11 - April 4, 2020
「잇다」
April 14 - June 6, 2020
「통섭 : Consilience」
February 14 - March 30, 2024
「Still, Wave and Again」
February 28 - April 15, 2023
NEWS
- 이전글배수영 Bae Soo Young 22.02.25
- 다음글권신홍 Gwon Shin Hong 21.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