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ST EXHIBITIONS

For, REST

본문

강선미, 구채연, 이미혜



《For, REST》는 쉼의 본질을 조명하며, 고단한 일상 속 우리에게 조용한 안식과 회복의 시간을 제안한다. 이 전시는 단순한 멈춤이 아닌, 내면의 균형을 되찾고 다시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새로운 출발점으로서의 ‘쉼’에 주목한다. 강선미, 구채연, 이미혜 세 작가는 서로 다른 감각과 언어로 삶의 결 안에 깃든 쉼의 순간을 시각화하며, 감상자 각자의 내면 풍경을 일깨운다.


강선미 작가는 빠르게 흘러가는 현대인의 삶 속에서 자연이 주는 위로를 통해 쉼의 감각을 시각화한다. 무심코 지나치는 가로수, 산, 숲, 하늘, 달과 같은 자연의 요소들은 작가의 화폭 속에서 따스하고 신비롭게 드러난다. 바쁜 일상 속에서 쉼의 주체인 ‘나’는 의자의 형상으로 상징되며, 풍성한 수풀과 나무, 초승달과 그믐달 속에 놓이며 자연과의 일체감을 형성한다. 갈필과 반복되는 선들, 중첩된 색의 질감은 시간과 공간을 의식적으로 환기시키며, 선이 이끄는 공간은 관람자에게 편안함과 안정감을 선사한다. 작가는 이러한 ‘쉼의 공간’을 통해 자연을 통해 재충전하는 시간을 갖고, 다시 오늘을 살아갈 수 있는 새로운 시작으로 이어진다.


구채연 작가는 고양이라는 존재를 통해 우리 삶의 이중성과 감정을 우화적으로 표현한다. 이타적이면서도 이기적인, 공생하다가도 경쟁하는 인간의 모습을 고양이로 의인화하며, 그들이 머무는 배경은 들꽃과 이름 모를 풀로 구성된 작은 자연의 군집이다. 이는 현대를 살아가는 터전에서 우리가 미처 인식하지 못했던 생명의 고집스러움과 맞닿아 있다. 작가는 불안정한 삶 속에서도 하루하루 소소한 기쁨과 위로의 순간이 쌓여 오늘을 이루고, 그것이 내일을 살아갈 힘이 된다는 메시지를 전한다. 일상의 담담한 기록 속에 묻어 있는 치유와 여유, 따뜻한 웃음은 관람자에게 조용한 공감과 회복의 감각을 일깨운다.


이미혜 작가는 반복되는 일상 속 감정과 사건, 기억의 순간들을 수집하고 재구성하여, 그것을 왜곡된 감각과 상징적 이미지로 풀어낸다. 이목구비 없는 인물은 자아이자 타인으로 작용하며, 주관화된 삶의 단면을 은유한다. 'Fly' 시리즈에서는 하늘과 대지 사이를 떠도는 여성의 형상으로부터 세상과의 거리두기를, 동시에 현재를 내려다보는 시선을 표현한다. 'Finding insights' 시리즈 중 ‘Hope, without fear’는 삶을 항해에 비유하며, 다양한 경로의 선택은 결국 마음의 상태에서 비롯된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For, REST》는 우리 삶의 한 가운데서 쉼이라는 감각을 다시 마주하게 한다. 자연, 관계, 감정의 결 속에서 회복과 재충전의 여지를 찾고, 오늘이라는 시간을 다시 살아낼 수 있는 마음의 공간을 열어준다. 이 전시는 곁에 머물며 말없이 위로를 건네고, 각자에게 맞는 속도로 나아갈 수 있는 여백을 제안한다.



For, REST casts a gentle spotlight on the essence of rest, offering a moment of quiet solace and renewal amidst the exhaustion of everyday life. Rather than presenting rest as a simple pause, the exhibition explores it as a conscious return to inner balance—a beginning from which we can move forward again. Artists Sunmi Kang, Chaeyeon Koo, and Mihae Lee each visualize moments of rest embedded within the fabric of life, awakening the viewer’s own inner landscape through distinct languages and sensibilities.


Sunmi Kang captures the sensation of rest through the quiet comfort nature provides in the midst of fast-paced modern life. Elements such as roadside trees, mountains, forests, skies, and the moon—often overlooked—are rendered in her work with warmth and a sense of quiet mystery. The figure of the resting self appears symbolically as a chair, situated within lush greenery, trees, and the shifting forms of crescent and new moons, fostering unity with nature. Through dry brushstrokes, repeated lines, and layered textures of color, she evokes the presence of time and space. These drawn spaces guided by line offer viewers a sense of calm and stability. In this “space of rest,” the artist invites us to recharge through nature, preparing ourselves to reenter the flow of daily life.


Chaeyeon Koo explores the dualities and emotional layers of human life through the allegorical figure of the cat. Cats, anthropomorphized, become stand-ins for the contradictory nature of humans—selfless yet selfish, cooperative yet competitive. They inhabit small, natural clusters of wildflowers and nameless grasses, spaces that speak to life’s quiet tenacity often unnoticed in our modern environments. The artist’s message—that small moments of joy and solace, even amid instability, accumulate into the foundation of our present and the strength for tomorrow—resonates with gentle clarity. Her quietly expressive works offer viewers a sense of healing, ease, and tender reflection.


Mihae Lee collects and reassembles emotions, memories, and everyday incidents, reinterpreting them through distorted senses and symbolic imagery. Faceless figures serve as both self and other, metaphorically reflecting subjective fragments of lived experience. In her Fly series, floating female figures between sky and earth represent a distancing from the world while simultaneously gazing down at the present. In Hope, without fear from her Finding Insights series, life is likened to a voyage, with the various paths we take ultimately stemming from the state of our hearts.


For, REST invites us to confront the concept of rest at the very center of our lives. Through nature, relationships, and emotion, the exhibition opens a space for healing and renewal—a space in which to re-inhabit the present. It remains quietly beside us, offering comfort without words and suggesting a pace of life uniquely suited to each of us.


______

For, REST


참여 작가 | 강선미, 구채연, 이미혜

전시 기간 | 2025. 06. 04 - 07. 26

전시 장소 | 2022. 11. 15 - 12. 24

운영 시간 | 화~토 10:30 ~ 19:00

                   월요일 휴관 / 일요일 예약제


문의 

Tel  |031-629-9998 

Mail l hedwig__gallery@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