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ST EXHIBITIONS

Stefan Bircheneder

본문

Stefan Bircheneder(스테판 비르헤네더)는 고전 회화 테크닉을 기반으로 조형성과 개념을 확장해온 독일 작가다. 성당 복원화가로 일하며 역사적 회화 기술을 익힌 그는, 바로크 회화의 양식을 현대적으로 재구성하며 독자적인 회화 세계를 구축해왔다. 2011년부터 프리랜서 예술가로 활동을 시작한 Bircheneder는 초기에는 고전적인 대형 회화로 산업 현장을 묘사했고, 이후에는 캔버스를 조형화한 3차원의 오브제로까지 작업의 범위를 확장했다. 그의 작업은 대리석, 금박 등의 특수한 재료를 사용하여 화려함과 상징성이 강조되는 회화적 장면을 구성하는 동시에, 버려진 공장, 낡은 캐비닛, 산업적 풍경 등과 중첩되며 '바로크 판타지'의 미감 위에 현대 산업 사회의 구조적 아이러니를 얹는다.


Bircheneder의 회화는 고전과 현대, 환상과 사실 사이를 오가는 독특한 긴장감을 품고 있다. 트롱프뢰유(Trompe l’oeil) 기법을 활용하여 언뜻 보면 실재처럼 착각할 정도로 정교하게 이미지를 구축하고, 정적이고 텅 빈 공간을 통해 오히려 극적인 긴장감을 자아낸다. 하지만 정면을 마주한 회화적 환상이 주는 리얼리티는, 작품 속 열린 캐비닛 안에서 무너진다. 거칠게 노출된 캔버스의 뒷면, 선반에 올려진 극사실주의 정물은 우리가 '현실'이라 인식하는 장면에 의문을 던지며, 감상자의 시선을 멈추게 만든다. 현실과 환상의 경계는 무너지며, 시각적 착시를 유도하고 동시에 해체하는 이중 구조는 시각 언어의 구조 자체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제기한다.

이러한 작업은 단순한 시각적 충격에 머무르지 않는다. 작가는 회화 안에 현대 사물성을 유입시킴으로써, 전통 회화가 지닌 미적 틀을 넘어선다. 작업복, 공구, 녹슨 철재 사물함 같은 비예술적 오브제는 노동의 흔적을 담은 도구이자, 예술이라는 시스템 바깥에 있는 물질성으로 기능하며, ‘예술과 노동’이라는 이질적 개념의 접점을 형성한다. 이로써 Bircheneder의 회화는 단순한 재현이 아닌 사회적 기억과 물질적 흔적이 교차하는 서사의 장으로 확장된다.


작가는 “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Ceci n'est pas une pipe).” 라는 마그리트의 말처럼, 눈앞에 보이는 이미지가 지닌 실체성 자체를 흔들어 놓는다. 실제처럼 보이지만 실재하지 않는 캐비닛, 여닫는 구조를 지녔으나 결코 열리지 않는 그림 속 장치는, 우리가 사물을 인식하고 정의하는 방식에 균열을 일으킨다. 그는 캐비닛의 본래 기능에 매몰되지 않고, 그 구조를 빌려 새로운 이미지와 의미의 층을 생성해낸다.

Stefan Bircheneder의 회화는 일상적이고 평범한 장면들을 낯설게 재편함으로써, 유머와 해학, 철학적 직관이 공존하는 시선을 제시한다. 작업은 단지 ‘보는 것’에서 멈추지 않고, ‘읽히고 해석되며 확장되는 이미지’로 기능하며, 현대 회화가 지닌 내러티브의 가능성을 새롭게 묻는다.



Stefan Bircheneder is a German artist who expands the boundaries of form and concept based on classical painting techniques. Having worked as a church restoration painter, he mastered historical painting methods and has since developed a unique pictorial world by reinterpreting Baroque styles through a contemporary lens. Since beginning his career as a freelance artist in 2011, Bircheneder initially depicted industrial scenes in large-scale classical paintings and later broadened his practice to include three-dimensional canvas-based objects. His works employ special materials such as marble and gold leaf to construct painterly scenes rich in symbolism and visual splendor, often juxtaposed with imagery of abandoned factories, aged cabinets, and industrial landscapes—layering the aesthetic of “Baroque fantasy” with the structural irony of modern industrial society.


Bircheneder’s paintings hold a distinctive tension between the classical and the contemporary, the fantastic and the real. Utilizing the trompe-l’oeil technique, he creates hyperrealistic images that momentarily deceive the viewer into perceiving them as real. The still, empty spaces he renders evoke a dramatic tension, yet the illusion collapses within the opened cabinets depicted in his works. The rawly exposed backs of canvases and the hyperreal still-life objects placed on shelves question the perceived ‘reality’ of the scenes, prompting viewers to pause. The boundaries between reality and illusion blur, and his dual structures—both inducing and dismantling visual illusion—pose fundamental questions about the nature of visual language itself.


His work does not remain at the level of visual surprise. By integrating elements of modern materiality into his paintings, Bircheneder surpasses the aesthetic framework of traditional painting. Non-art objects such as work clothes, tools, and rusted metal lockers are artifacts of labor and function as material presences outside the institutional domain of art. They form a point of contact between the seemingly opposing concepts of “art and labor.” In doing so, his paintings become narrative spaces where social memory and material traces intersect, rather than mere acts of representation.


Like Magritte’s statement, “Ceci n’est pas une pipe,” Bircheneder’s works destabilize the very substance of the images we see. The cabinets that appear real but do not exist, the pictorial devices that seem openable yet can never be opened, disrupt the viewer’s conventional ways of perceiving and defining objects. He does not confine himself to the cabinet’s original function but instead appropriates its structure to generate new layers of image and meaning.


By rendering everyday, mundane scenes unfamiliar, Stefan Bircheneder offers a gaze where humor, irony, and philosophical intuition coexist. His works go beyond mere visual perception—they function as images to be read, interpreted, and expanded upon, re-questioning the narrative potential of contemporary painting.


______________

Stefan Bircheneder


참여 작가 | Stefan Bircheneder

전시 기간 | 2023. 07. 01 - 09. 10

전시 장소 | 현대백화점 무역센터점 7, 8F H.art LAB

운영 시간 | 현대백화점 무역센터점 운영시간 참고


문의 

Tel  |031-629-9998 

Mail l hedwig__gallery@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