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요한 만남
본문
박성욱, 이금영
《고요한 만남》은 물성과 감각, 전통성과 현대성이 교차하는 두 작가의 조형 언어를 통해, 시간과 존재에 대한 사유를 마주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박성욱과 이금영, 두 작가는 서로 다른 접근 방식으로 한국 전통 도자 기법인 ‘분청’의 미학을 동시대의 시선으로 새롭게 풀어낸다.
박성욱 작가는 분청사기의 덤벙 기법을 활용하여 ‘공(空)’과 ‘간(間)’의 켜를 기억하는 조형 언어를 탐구해왔다. 묽은 분장토에 기물을 담갔다 꺼내는 전통적인 방식은 흙과 물, 시간의 흐름을 고스란히 재현하며, 재료의 밀착성과 자연스러운 흐름을 끌어낸다. 작가는 감각을 열고 흙과 물의 반응을 그대로 수용한다. 잘 반죽된 흙은 도판으로 펼쳐지고, 다시 잘라진 조각들은 가마의 불을 거쳐 하나의 ‘편(片)’이 되어, 물성과 기억, 시간의 잔여로서 존재한다. 이번 전시는 박성욱의 25년 작업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며, 변화와 지속의 맥락 속에서 분청의 조형 언어를 통합적으로 조망하는 자리가 된다.
이금영 작가는 아이들의 그림에서 느껴지는 순수성과 자유로움, 그리고 전통 민화에 담긴 상상력과 해학을 창작의 뿌리로 삼는다. 특히 꽃과 고양이라는 친근한 자연의 모티프를 통해, 민화가 지닌 해석의 자유와 시대를 초월한 감성에 접근한다. 작업은 조선시대 분청사기의 대표 기법 중 하나인 박지기법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기물의 전체를 백토(白土)로 분장한 뒤, 문양을 긁어내고 유약을 입혀 구워내는 과정을 통해 표현된다. 이때 사용되는 태토(胎土)는 기물의 형태를 이루는 바탕 점토로, 이금영 작가의 작업에서는 유연한 조형성과 정서적 온기를 동시에 품는 물질적 기반이 된다. 박지 기법의 섬세한 조형 위에 드러나는 자연의 이미지들은 단순한 장식적 문양을 넘어, 보는 이로 하여금 유년의 기억과 감정의 층을 환기하게 한다.
각기 다른 조형 방식으로 흙과 생명, 기억과 질서를 다루는 두 작가의 작업은 이번 전시 공간 안에서 나란히 놓이며, 서로를 비추고 확장시킨다. 박성욱의 감각적 구조와 이금영의 정서적 서사는 서로 다른 시간과 시선 위에서 교차하며, 전통 도자 조형의 현재적 의미를 새롭게 사유할 수 있는 재해석의 공간을 제시한다.
《A Quiet Encounter》 offers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ime and existence through the sculptural language of two artists, where materiality and sensation, tradition and modernity intersect. Park Sungwook and Lee Geumyoung each reinterpret the aesthetics of buncheong—a traditional Korean ceramic technique—through a contemporary lens, using distinct yet complementary approaches.
Park Sungwook has long explored a sculptural language that remembers the layers of emptiness (空) and interval (間) through the traditional dumbing technique of buncheong ware. This method—dipping a vessel into diluted white slip and then removing it—faithfully captures the flow of earth, water, and time, drawing out the intimacy of materials and the natural rhythm of process. The artist opens himself to sensation and accepts the interaction between clay and water as it is. Well-kneaded clay is spread into plates, cut into pieces, and transformed by fire into individual “fragments (片)”—each becoming a remnant of materiality, memory, and time. This exhibition organically connects Park’s 25 years of practice, providing a comprehensive view of buncheong’s sculptural language within a context of change and continuity.
Lee Geumyoung draws inspiration from the purity and freedom found in children’s drawings and the imagination and wit of traditional minhwa (folk paintings). Through familiar natural motifs such as flowers and cats, she approaches the interpretive openness and timeless emotion embedded in minhwa. Her work employs the bakji technique—one of the representative methods of Joseon buncheong ware—in which the entire surface of the piece is coated in white slip, then the patterns are carved out before being glazed and fired. The taeto (clay body) used in this process forms the base structure of the vessel, and in Lee’s hands, it serves as a material foundation that conveys both sculptural fluidity and emotional warmth. The delicate natural imagery revealed through the bakji technique transcends decorative motif, evoking layers of childhood memory and emotion in the viewer.
The works of these two artists—each dealing with clay, life, memory, and order through different sculptural methods—are placed side by side within the exhibition space, reflecting and expanding upon one another. Park Sungwook’s sensorial structures and Lee Geumyoung’s emotional narratives intersect across differing times and perspectives, presenting a reinterpreted space for contemplating the contemporary meaning of traditional ceramic form.
________
고요한 만남
참여 작가 | 박성욱, 이금영
전시 기간 | 2023. 10. 07 - 11. 04
전시 장소 | 경기 성남시 분당구 운중로 146번길 13, 1F
운영 시간 | 화~토 10:30 ~ 19:00
월요일 휴관 / 일요일 예약제
문의
Tel |031-629-9998
Mail l hedwig__gallery@naver.com
- 이전글A JIN NO 23.11.21
- 다음글COMMUNE : 공동체의 방향 23.09.11